시아진 빙하 지역은 인바 분쟁 지역으로, 1947 년 인바카슈미르 분쟁이 발발한 이후 세계 해발이 가장 높은 대치진지로 양측이 모두 중병을 두고 여러 차례 혈전이 벌어졌다.
1949 년에 인도-파키스탄 양국은 카슈미르 지역에서 휴전선을 긋는 데 합의한 카라치 협정에 서명했다. 나중에' 실제 통제선' 으로 불리게 된 이 휴전선은 논란이 있는 카슈미르 지역을 인통제, 바제어 두 부분으로 나누었지만, 시아진 빙하의 남단으로만 그쳤지만,' 카라치협정' 에서는 휴전선이' 북쪽으로 빙하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모호하게 언급했다. 인바 제 3 차 전쟁의 결과인' 심라 조약' 도 시아진 빙하의 경계를 명확하게 정하지 못했다.
1962 년 중국과 파키스탄이 국경을 나눌 때 두 나라 경계가 시아진 빙하의 북동쪽에 있는 카라쿤룬 산으로 확장되었다고 확정했을 때 인도 정부는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1981 년부터 인바 쌍방은 각각 순찰대를 파견하여 석아진 빙하 지역에 도착하여 정찰과 적응훈련을 하고, 동시에 유럽 국가에 가서 고지대 작전을 위한 전용 설비를 구매하여 부대가 장기간 주둔할 수 있도록 물질적 준비를 하였다.
1983 년에 인도군은 시아진 빙하 지역으로 몰래 들어가 거점을 설립하기 시작했다. 이듬해 인군은 또' 메이브도' 전투를 벌여 빙하의 두 산구, 즉 전략적 의미의 시아라야마구치와 빌라폰드 산구를 점령하고, 기본적으로 그 지역을 장악했고, 파키스탄은 남쪽의 고양라 산구만 통제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Northern Exposure (미국 TV 드라마), 전쟁명언) 1984 년 전쟁에서 양측은 각각 2 개 사단이 참전했고 약 1 만 명의 병사가 사망했다.
1984-2003 년 인도와 파키스탄은 이곳에서 여러 차례 교전을 벌여 2003 년 11 월까지 휴전을 달성하지 못했다.
인도와 파키스탄이 2004 년 전면적인 대화 과정을 시작한 이후, 바 측은 인도가 카슈미르 지역에 주둔군을 줄일 것을 요구해 왔다. 2013 년까지 카슈미르의 실제 통제선 인쇄측에서는 시아금 빙하가 여전히 인군 14 단 방구 중 하나였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여전히 대치하고 있다.
2007 년 9 월 인도 정부는 인도와 중국, 인도와 네팔 사이의 국경, 그리고 파키스탄 카슈미르와의 각 세계적 최고봉 부근에 200 개의 관광 탐험선 (시아진 빙하에 있는 4 개의 관광 프로젝트 포함) 을 개설하고 국가 계획에 포함한다고 발표했다.
2011 년 5 월 31 일 인도와 파키스탄 양국의 협상 대표는 뉴델리에서 이틀간의 시아진 빙하 문제에 대한 협상을 끝냈다. 양측은 공동성명에서 양국이 다시 이슬람부르크에서 관련 협상을 계속하여 시아진 빙하 지역에서 양국 군대의 대치를 끝내려고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