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중국 분류 정보 발표 플랫폼 - 생활 서비스 정보 -

쉽게' 초인류주의와 후인류주의 도론' 을 번역하고, 서문을 번역하다

쉽게' 초인류주의와 후인류주의 도론' 을 번역하고, 서문을 번역하다

< /p>

출처: Loh, Janina 2018,? Trans-? Und Posthumanismus. Zur? Einf ü hrung.hamburg: junius, pp. 10-16.

번역가: 정작유 < /p>

인간 진화가 끝났는지, 아니면 인간인지 과학기술이 끊임없이 극한의 발전을 추구하는 세상에서 인류는 무엇이 될 수 있습니까? 인류는 무엇이 될 것인가? 인류는 이미 "만물의 영" 의 지위에 도달했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까? 인간이 더 강해질 수 있을까? 인조인과 인조인을 만든 사람 사이의 관계는 무엇입니까? 이 둘은 적입니까, 친구입니까? 인조인은 진화의 정상을 다투는 경쟁자인가? 인류를 초월하는 새로운 종인가? 아니면 단지 인류의 연장일 뿐, 다만 이런 연장은 사람을 만든 사람의 도움을 빌어 인공적으로 더 좋은 경지에 도달하려고 하는 것일 뿐이다. < /p>

이 문제는 철학적 반성의 오랜 도전이며, 20 세기 이후 이에 대한 답변에는 초인류주의와 후인류주의라는 두 가지 전혀 다른 사조가 있다. 이 두 가지 사조는 철학, 사회과학과 문화과학, 신경과학, 정보과학, 로봇제조과학, 인공지능 연구를 모두 결합했고, 철학 인류학과 기술철학 전체가 이 문제에 힘쓰고 있다. Wilson/Haslam 2009). 이들 학자들은 과학기술을 통해 확장된 휴머니즘 전통의 부흥이라고 자인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런 휴머니즘과 거리를 두고 포스트모던 강령에 연결되어야 한다. 초인류주의든 후인류주의든, 휴머니즘적 의미에서 이해한 인간을 출발점으로 삼아 과학기술과 과학이론에 대한 사고를 진행한다. < /p>

Transhumanismus/transhumanism (Transhumanismus/transhumanism) 은 인류가 계속 발전, 최적화, 개조 및 개량할 수 있도록 하려는 의도입니다. 하지만 초인류주의의 인간에 대한 요구는 성경의 「에베소」에 나오는 "옛 인간 [...] 을 벗고 새 인간을 입으라" (「에베소」, 4: 22-24) 와 비슷하지만 초인류주의는 기독교 사상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 초인류주의의 방법은 과학기술의 방식으로 사람을 일종의 후인류의 존재로 바꾸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초인류주의는' 인간' 이라는 종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인류로부터 한 걸음 더 나아가 ('trans-') 후인류의 상태, 즉 인류의 더 진보된 버전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초인류주의에서 인류의 진화는 보편적이고 무궁무진한 것으로 여겨진다 (Birnbacher 2015, 2008; Garreau 2005: 231f; 니 메이어 2015; 필 벡 2014; R? Tzer 1998;; Woll 2013). 초인간주의의 사상에서 기술은 한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체와 도구의 역할을 한다. 즉, 인간이 더 진보된 버전의 인간으로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존 F. 케네디, Northern Exposure (미국 TV 드라마), 과학명언) < /p>

후인류주의 (Posthumanismus/ posthumanism) 는 초인류주의와 달리 후인류주의는' 인간 오늘날 우리의 인류관과 세계관에 있어서, 이 이원분류는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후인류주의는' 인간' 이라는 개념을 극복하려고 하는데,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이러한 전통의 이분범주와 이 범주에서 나온 이원론 사상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이다. 따라서 후인류주의의 철학은 특별하지만 당대의 매우 본질적인 인류에 대한 이해 사이에서 더 깊은 단계로 나아가거나 ("포스트"-) 를 뛰어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휴머니즘에 대한 인간관에 대해 강한 비판의 입장을 취한 후인류주의인 헤브레히트 (Stefan Herbrechter) 는' 비판적인 후인류주의' (Herb Rechter 2009: 7) 라고 불린다. 비판적인 후인류주의가 상상하는 후인류는 현재의 인류의 개량판 (초인류주의가 생각하는 것) 이 아니라 인류에 대한 새로운 이해 방식이다. 이 사조에서 휴머니즘은 철저히 심문을 받고 근본적으로 뒤집혔다. 이에 따라 최종 재판의 우주 전체도 완전히 바뀌었다 (Braidotti 2016;; Callus/Herbrechter 2013;; 프랭클린 2009; Gane 2006;; Krüger 2007;; Nayar 2014) 을 참조하십시오. 비판의 후인류주의 중' 비판' 은 애초에' 비판과 문화이론' 과 후구조주의에서 뜻하는 문학 비판과 (특히) 문화비판이었다. 이들 연구소는 과학문과 소설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인 독서 (Herbrechter/Callus 2008) 에 종사하고 있다. < /p>

초인류주의와 후인류주의 사이에는' 기술의 후인류주의' (Tirosh-Samuelson 2014: 55;) 라고 불리기도 하는 사조가 있다. Badmington 2003: 11;; Herbrechter 2009: 10, 19; 네이어 2014: 2-5; 필 벡 2014: 174-176. 비판적인 후인류주의든 과학기술의 후인류주의든 모두' 인간' 이라는 종의 변화가 최우선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래서 둘 다 후인류주의입니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후인류주의는 그동안 이분범주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고, 인간관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고, 인간이 만든 다른 사람의 출현에 더욱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사람이 만든 사람은' 인간' 이라는 종을 느슨하게 해야 하며,' 인간' 이라는 종을 극복해야 한다. 인간을 향한 길에서 인간은 과학 기술 성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인간도 수정되거나 더 나은 버전으로 개조될 수 있다. 특히 나노로봇과의 결합을 통해 앞으로 우리의 마음을 컴퓨터에 업로드할 수 있다 (본 책 7 장 1 절과 3 절 참조). 그러나 일부 초인류주의자들에게는 기본적인 발전이며, 기술의 후인류주의를 초인류주의 패러다임의 곁가지로 간주한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예를 들면: Stefan Lorenz Sorgner, Max More, Martine Rothblatt). 그러나 기술의 후인류주의는 여전히 그 자신의 길을 걷고 있다. 과학기술의 후인류주의는 먼저 인간이나 인류의 고급 버전을 토론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기계로' 슈퍼종' 을 만드는 방법을 논의한다. 과학기술의 후인류주의 사상에서 만약 인류가 이에 따라 개조된다면, 그것은 또한 그 성취를 보는 것이 즐겁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윈스턴, 과학, 과학, 과학, 과학, 과학, 과학명언) 따라서 기술의 후인류주의에 있어서 기술은 매체나 도구 (초인류주의가 생각하는 것) 가 아니라 기술 자체가 목표와 목적이다. 그러나 비판적인 후인류주의에 있어서 기술 (문화와 과학 포함) 은 자연에 반대하는 역할이다. 특히 이원분류 (이 이원분류는 인간과 인류의 세계에 대한 이해에 큰 영향을 미침) 에서 기술과 자연의 대립이 대표적인 범주다. 그러나 기술도 진보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전통적인 해석 모델을 돌파할 수 있다. < /p>

기술의 후인류주의도 후인류의 상상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상상력은 인류의 고급 버전 (초인류주의) 이나 인류에 대한 새로운 휴머니즘 이해 (비판적인 후인류주의) 에 관한 것이 아니라, 인위적인 다른 사람, 일종의 인공 초지능에 관한 것이다. < /p>

"저는' 인간' 이라는 종에 대한 향수가 없습니다." (Brai Dotti 2014: 197)-이 모든 사조의 대표적 인물들이 모두 * * * 즐기는 명제입니다.

초인류주의는 지금까지의 인류가 전반적으로 무너지고, 초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과학기술의 후인류주의는 이것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다. 비판적인 후인류주의는 인간을' 모든 것의 척도' 라고 전혀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의 허구적인 지식식과 자기영상' 에 전혀 집착하지 않는다 (2014: 197). < /p>

이 책은 초인류주의와 후인류주의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탐구하고, 이 두 가지 사상 방향의 중요한 주제와 동기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그들의 비교적 유명한 연구 방향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사조 중에는 눈에 띄게 차별화된 입장이 있지만, 이 책은 때때로 좀 더 체계적인 논술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분류하여 이러한 각기 다른 입장을 단순화할 수 있다. 게다가, 초인류주의와 후인류주의 중 몇 가지 중요한 대표 인물들은 우선 철학자가 아니다. 많은 경우, 다른 분야에서 명성이 자자한 초인류주의자와 과학기술의 후인류주의자들은 그들의 분야에서 아쉽게도 철학 문제를 간과하고, 이러한 현상에 수반되는 윤리적 결과와 사회정치적 결과에 직면할 때, 관심의식도 결여되어 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윈스턴, 과학명언) (윌리엄 셰익스피어, 윈스턴, 과학명언) 예를 들어, 기술의 후인류주의자 쿠츠웰 (Ray Kurzweil) 이 특이점 접근 (the singularity is near: when humans) 에 있습니까? (Transcend Biology, 2005) 한 책에서는 이런 관심의식에 대해 전혀 캐묻지 않고' 귀찮다',' 까다롭다' 고 생각했지만 (2005: 251), 그의 눈에는' 사상게임' 에 불과하다는 그의 책은 생각하지 않았다 과학기술의 후인류주의자 민스키 (Marvin Minsky) 는 그의 저서' 정신사회' 에서도 왜 몸과 마음을' 다른 세계' 로 나누어야 하는지, 이 두 가지가 어떻게 이원으로 볼 수 있는지, 구체적인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지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 너무 순진한 이런 철학적 관점도 애매모호한 설법을 많이 만들어 미해결의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윈스턴, 순진함, 순진함, 순진함, 순진함, 순진함) 이 방면이나 이와 유사한 도전에 대하여, 이 책은 취지와 의도에 지장을 주며, 때로는 두세 마디 밖에 할 수 없다. < /p>

이 책은 초인류주의와 후인류주의라는 두 가지 전통축에 대해 가능한 한 편파적이고 편견 없이 소개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나는 또한 일부 비판적인 입장, 특히 초인류주의와 과학기술을 겨냥한 후인류주의의 구상을 가지고 있다. 제 1 장 초인류주의와 후인류주의의 휴머니즘의 근원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초인류주의, 과학기술의 후인류주의와 비판의 후인류주의 운동에 대해 1 부에서 3 부로 소개하며, 각 부분은 비판의 반성으로 총결될 것이다. < /p>

이 책은 디스토피아에서 과학기술 발전을 견책하려고 한다. ("기계가 결국 권력을 장악할 것이다!" " 유토피아적인 기술 열정 ("우리는 언젠가는 나노 로봇과 결합될 것이고, 곧 영생을 얻을 것이다!" " ) 이 두 극 사이에 방위를 찾다. 이 책은 또한 이 양극 사이의 회색 지대에 있는' 혼수' 의 깊이를 탐지하고 비판의식과 철학의 냉정한 태도로 탐구하고, 우리가 어떻게 과학기술의 성과를 사용해야 하는지 생각하며, 우리가 어떻게' 인간' 을 개선하거나 극복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본다. 이 책은 일종의 비판의식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 /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