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챗 모멘트 (WHO) 는 요오드화 칼륨의 안전성이 요오드화 칼륨보다 훨씬 더 크다는 것을 전 세계적으로 인정하고 요오드화 칼륨의 독성이 요오드화 칼륨보다 10 배 더 크다는 소식을 미친 적이 있다. 중국의 요오드소금이' 요오드산 칼륨' 사용을 강화하는 것은 미국인의 음모이며, 일급 비밀' 멸화 I3050 공사' 를 거론하기도 한다. 이게 사실인가?
요오드 강화는 일반적으로 요오드염을 통해 이루어지며 동물 사료, 식수, 식용유 등을 통해 이뤄진다. 요오드화 칼륨이나 요오드산 칼륨은 가장 흔한 요오드제이며, 물론 나트륨과 칼슘염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 요오드화 칼륨과 요오드화 칼륨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요오드화 칼륨의 용해성이 좋아 안개 후 건조한 소금에 뿌릴 수 있다. 그러나 화학적 성질이 불안정하여 소금이 습기를 받거나 습한 공기, 조명, 열, 산성 환경, 불순물 등에 노출되면 산화되고 무효가 된다.
요오드 유출을 최대한 피하려면 소금의 순도가 99.5 보다 높고 수분이 0.1 미만이어야 하며 티오황산나트륨 (소다), 수산화칼슘 (익은 석회),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등과 같은 안정제와 건조제를 첨가해야 한다. 전반적으로 요오드화 칼륨의 환경 적응성은 비교적 떨어진다.
반면 요오드산 칼륨은 소금의 순도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고, 환경에 대한 요구도 높지 않으며, 안정제와 건조제가 필요하지 않다. 그것의 용해도는 요오드화 칼륨보다 못하여 포장 봉지로 달려가는 것이 쉽지 않다. 물론 용해도가 낮다고 해서 요오드 강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4 안팎의 용액으로 소금 속의 요오드를 킬로그램당 100 밀리그램까지 강화하기에 충분하며, 현재 우리나라의 강화량은 킬로그램당 20-30 밀리그램이다.
또 요오드화 칼륨의 가격은 요오드산 칼륨보다 저렴하지만 요오드 손실 요인을 감안하면 요오드화 칼륨을 사용하는 종합비용이 더 높을 수 있다. 그리고 요오드 손실의 정도가 고르지 않아 요오드 보충량도 파악하기가 더 쉽지 않다.
미국의 요오드염은 확실히 요오드화 칼륨을 사용하지만, 요오드산 칼륨을 사용하는 것도 중국 일가가 아니다. 인도 인도네시아 카메룬 등 개발도상국 외에도 호주 독일도 요오드산 칼륨을 사용한다. 국가 수로 비교하면 요오드산 칼륨을 사용하는 나라가 요오드화 칼륨을 사용하는 나라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로 계산하면 중국과 인도의 두 인구 초강대국의 요인으로 요오드산 칼륨을 사용하는 인구도 요오드화 칼륨을 훨씬 능가할 것이다.
인터넷에서 널리 퍼지는' 요오드산 칼륨 독성이 요오드화 칼륨보다 10 배 더 크다' 는 것은 독리학 매개변수인' 절반 치사량' 에서 나온 것이다. 중요한 문제는 단순한 독리학 매개변수 비교가 아니라 실제 사용량에서 안전한지 여부입니다. 예를 들어 요오드화 칼륨의 안전량은 100 이고 요오드화 칼륨의 안전량은 10 이지만 실제 사용량은 1 에 불과하다면 모두 안전하지 않을까요?
1994 년에 세계보건기구와 국제 요오드 결핍증 이사회는 다국적 경험에 근거하여 매일 0.2 ~ 0.4 밀리그램의 요오드를 섭취하는 것이 적당하고 1 밀리그램을 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고 결론 내렸다. 사실, 현재 세계 최대 사용량으로도 요오드산 칼륨을 통해 섭취하는 요오드는 적정량을 초과하지 않을 것으로 추산된다.
사실 요오드화 칼륨과 요오드산 칼륨을 비교하는 안전성의 의미는 그리 크지 않다. 우리 몸에는 요오드산 칼륨을 요오드화 칼륨으로 신속하게 환원시킬 수 있는 많은 천연환원제가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이것은 간단한 산화 복원 반응이며 심지어 바이오효소의 참여도 필요하지 않다. 상당히 많은 동물 실험도 이 두 요오드제는 뚜렷한 생물학적 효과 차이가 없다는 것을 증명했다. 즉, 먹는 것이라면 요오드화 칼륨이나 요오드산 칼륨을 먹어도 갑상샘에 도달하는 요오드에는 차이가 없다.
요오드산 칼륨이 왜' 위험화학품 목록' 에 포함되는지에 대해서는 산화제이며 환원제와 함께 폭발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요오드화 칼륨이든 요오드화 칼륨이든 인체의 필요에 따라 강화량을 결정해야 한다. 여기에는 물 요오드 밑값, 요오드 결핍 정도, 소금 섭취량, 식사 구조 등 여러 가지 영향 요인이 있다.
물 요오드본저치가 비교적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들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요오드염 강화 정책도 끊임없이 미세 조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10 년 전 우리 주민의 소금 섭취량은 하루 약 12 그램이었는데, 10 년간의 건강교육을 통해 이미 눈에 띄게 감소했다. 식사 추천량의 6 그램 안팎으로 계속 내려가면 소금을 통해 섭취하는 요오드도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의미다. 그때까지 소금에 요오드를 첨가하는 양을 늘려야 할지도 모른다.
(출처: 기술 생활 주간)
이 기사는 "기술 생활" 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