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병명 3 영문명 4 메리에병의 별칭 5 분류 6 ICD번호 7 역학 8 거대비대위염의 원인 9 병인 10 거대비대위염의 임상양상 11 비후증의 거대합병증 위염 12 실험실 검사 13 보조 검사 13.1 **거대비대성위염 내용을 즐겼습니다. 읽기의 편의를 위해 다음 본문의 거대비대성위염은 자동으로 메리에병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여 원래 모습으로 복원하거나 메모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습니다. 1 개요
메리에병은 원인에 따라 발생합니다. 위점막의 과도한 증식. 1888년 Ménétrier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므로 Ménétrier병이라고도 합니다. Balfer는 1955년에 2개의 사례를 보고하고 문헌에서 50개의 사례를 검토했습니다. 1960년에 Butz는 1977년에 16개의 사례를 보고하고 문헌에서 200개의 사례를 검토했습니다. 중국에는 산발적인 사례 보고만 있을 뿐이다. 이 질병의 명칭은 거대주름 비대, 위점막 폴립성 부기, 위선유두 폐쇄증, 비대증식성 위염 등 매우 일관성이 없습니다. 2 질병명
메리에병 3 영문명
거대비대위염 4 메리에병의 별칭
거대비대위염; 위점막비대증; 위점막폴립종종 5가지 범주
위장병학> 위감염 및 염증성 질환 6 ICD 번호
K31.8 7 역학
메리에병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어린이에게도 나타날 수 있으며, 발병 기간은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습니다. 2개월에서 22년까지 평균 2년입니다. 메리에병의 8가지 원인
메리에병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연구에서는 소아 환자의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과의 연관성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형질전환 성장 인자 알파(Transforming Growth Factor Alpha)는 성인과 어린이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AIDS 환자에서 이 역할은 메네트리에병과 유사한 비대 주름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문헌을 검토하고 세 가족을 추적한 후 Larsen은 이 질병이 유전학과 거의 관련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9 병인
문헌에서는 거대, 거대, 비대, 증식, 폴립, 소포(구근) 등의 용어가 위 점막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병변은 국소적이거나 광범위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하게 영향을 받는 부위는 위의 산 분비 부위, 즉 위저부와 위체의 산 분비 점막이지만, 위 전정부와 심지어 근위 십이지장까지 침범할 수도 있습니다. 위는 부드럽고 매끄러우며 주름이 크고 부어 있으며 탄력이 없습니다. 깊은 참호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비대성 주름은 폭 1.5cm, 높이 3-4cm에 이릅니다. 위의 무게는 1200g까지 늘어날 수 있습니다. 부분적으로 절제된 위의 무게는 종종 500g을 초과합니다. 거대주름은 대부분 큰 만곡부에서 발견되며 일부는 광범위하고 일부는 국부적이며 정상 점막과의 연결은 갑작스럽거나 점진적일 수 있습니다. 점막 표면에 삼출물이나 침식이 있습니다. 그것은 결절성 또는 폴립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많은 양의 점액이 덮고 있기 때문에 명확하게 보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것은 주로 표면 상피의 증식으로, 이로 인해 선와가 상당히 확장되고 휘어집니다.
주름이 확연히 늘어나면서 점막은 위로 접히면서 동시에 점막 근육과 혈관을 끌어들입니다. 두 주름 사이의 기저 점막은 정상이거나 얇을 수 있습니다. 밑샘은 길고 직선입니다. 정수리 세포는 정상으로 보이며 일부 부위에 분포되어 있지만 다른 부위에서는 분비선의 낭포성 확장과 수많은 점액 분비 세포가 보입니다. 점액 세포는 전체 점막의 약 1/3을 차지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모든 선관이 선와(glandular crypt)로 변합니다. 윤활낭은 점막 근육을 관통하여 점막하층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Maimon의 설명에 따르면 점막 변화는 만성 방광염의 선와와 유사합니다.
호중구 원주, 고유판과 점막근층의 림프구 침윤, 현저한 호산구가 관찰되었습니다. 위 위축의 장화생은 이 질환에서 흔하지 않습니다. 점막 근육 비대, 고유근층 또한 섬유화되고 부종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점막하 부종 및 혈관 증가.
켈리는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환자 7명의 위점막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위 상피세포의 밀착연접이 현저히 넓어진 것을 발견했고, 이것이 단백질 누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믿었다. 메리에병의 10가지 임상양상
궤양과 같은 상복부 통증, 식사 후에 완화된다. 식욕 감소와 메스꺼움이 흔합니다. 폴립 모양의 주름이 유문을 막으면 구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출혈이 있어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단백질 손실과 지방변으로 인한 체중감소, 허약감, 부종 등이 나타난다. 게다가 증상도 심해 심각한 질병으로 의심되기도 한다. 위 단백질 손실 시트린은 환자의 위액에서 알부민의 존재를 처음으로 발견하여 위 점막의 단백질 손실이 건강한 사람의 1/3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131I 표지 알부민으로 측정한 일일 알부민 교체율은 건강한 대조군의 3배였습니다. 위에서는 약 6g의 알부민이 분해됩니다. 위에서 손실된 알부민은 장에서 소화되고 재흡수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알부민 합성을 제공하지만 보상이 어렵습니다. Citrin은 23건의 사례를 검토했는데, 그 중 16건에서 저알부민혈증이 있었습니다(6.0%). 마이몬은 환자의 혈장 단백질이 2주 만에 5.1g에서 3.8g으로 떨어졌고, 단백질 손실도 자연스럽게 완화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서는 부분 또는 전체 위절제술이 필요합니다. 단백질 결핍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아마도 위 점막 장벽의 손상 때문일 수 있습니다. 11 메리에병의 합병증
혈장 알부민이 증식성 위점막을 통해 위강으로 누출되어 저알부민혈증과 부종이 발생합니다. 12 실험실 검사
위산 분비 : 상피 증식으로 인해 위액에 점액이 다량 존재하며, 메리에병 환자의 50%는 위산이 없습니다. 소수의 환자에서는 높은 산성도와 궤양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조직학에서는 주세포와 정수리 세포가 증가하는 전형적인 선와 증식이 나타났습니다. 13 보조 검사 13.1 엑스레이 검사
접힌 부분이 크게 구부러져 있고, 더 큰 곡률쪽에 폴립형 변화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 접힌 부분이 평소만큼 명확하고 부드럽지 않습니다. 연동파가 감소하고 움직임이 느려집니다. 127건 중 60%에서 악성 병변이 의심됐다. 13.2 위내시경
팽창 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막대처럼 창백한 거대한 주름이 보입니다. 점액이 많습니다. 주름의 표면은 불규칙하며 종종 다양한 크기의 결절이나 폴립으로 나타납니다. 주름 사이에 깊은 균열이 있습니다. 표면 색상은 옅은색, 회색 또는 빨간색일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위내시경 진단은 쉽지 않습니다. ① 질병을 고려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② 식별이 쉽지 않습니다. Filer는 26건 중 8건에서만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졌다고 보고했습니다. 13.3 초음파 위내시경
병변 부위의 점막층이 상당히 두꺼워졌습니다. 14 메리에병 진단
저알부민혈증을 동반한 상복부 통증이 있는 사람은 메리에병을 의심하여 엑스레이와 위내시경을 받아야 합니다. 위 검사를 통해 큰 주름이 확인되면 조직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필요하다면 열생검, 대규모 조직검사(내시경점막절제술), 수술적 탐색 등을 시행해야 한다. 15 감별진단
메리에병은 위악성림프종, 침습성 위암, 졸링거-엘슨증후군, 위결핵, 위아밀로이드증 등과 감별되어야 한다. CronkhiteCanada 증후군의 위 점막 조직학은 이 질병과 유사하지만 임상적 식별은 더 쉽습니다. CronkhiteCanada 증후군의 임상 증상에는 탈모증, 손발톱 위축, 피부 색소 침착 및 소화관의 다발성 폴립이 포함됩니다. 16 메리에병 치료
경증의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해야 합니다. 단백질 손실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고단백 식단을 제공해야 합니다. 호르몬은 효과가 없습니다. 빈혈을 초래하는 지속적인 출혈에 대한 다양한 치료가 효과가 없는 경우 위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산성도가 높은 사람은 복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제산제나 진경제가 대부분 효과적이다. 소수의 경우는 자연적으로 호전될 수 있으나 메리에병은 암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무시해서는 안 되며,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17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