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쪽 담장에서 국화를 따며 한가로이 남산(南山)을 바라보다'는 동진(晉晉) 도연명의 '술(酒)'에서 따온 시 전문이다.
집은 자동차와 말의 소음이 없는 인간 환경에 있습니다.
어떻게 이럴 수 있나요? 마음은 그 자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동쪽 담장 아래에서 국화를 따다 보면 남산이 한가롭게 바라볼 수 있다.
산 공기는 날이 갈수록 좋아지고, 새들도 날고 있다.
여기에는 진정한 의미가 있는데 설명을 깜빡했네요.
번역: 자동차와 말의 분주함이 없는 인간 세상에서 살아간다. 이유를 물어보세요? 마음이 높은 한, 당신은 자연스럽게 당신이 있는 곳이 한적한 것처럼 느낄 것입니다. 동쪽 담장 아래에서 국화를 따며 한가로이 멀리 남산(南山)이 보인다. 산의 분위기와 저녁의 풍경이 매우 좋습니다. 새들이 동료와 함께 날아가는 모습도 보입니다. 여기에는 삶의 진정한 의미가 담겨 있는데, 그것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감상
"동쪽 담장 아래에서 국화를 따며 한가로이 남산(南山)을 바라봅니다. 산 공기는 낮과 밤 모두 아름답고 새들이 왔다 갔다 합니다." 시인이 은둔한 후의 정신적 세계와 자연풍경을 묘사한 문장은 여유롭고 만족스러운 태도와 딱 들어맞는다. 동쪽 울타리 옆에서 무심코 국화를 따고 있었는데 우연히 고개를 들어 남산을 보았습니다. 저녁이 되면 남산의 풍경은 매우 아름답습니다. 봉우리 사이에 안개가 남아 있고 새들이 함께 날아가는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시인은 남산의 아름다운 풍광으로부터 자신의 은거를 결부시켜 단순성과 진정성으로의 회귀라는 철학을 실현하였다.
새들은 아침에 날아갔다가 밤에 돌아오는데, 산과 숲이 목적지가 되어 관료가 되기 위해 여러 번 집을 떠나 결국 시골로 돌아가게 되었는데, 그것도 마찬가지다. 내 목적지. 시인은 『돌아오려다』에서 “구름은 떠날 생각이 없고, 새는 날아가는 데 지쳤음을 안다”라고 썼는데, 구름은 떠날 생각이 없다는 비유이다. 슈, 마치 관료가 될 생각이 없는 것처럼. 내가 공직을 싫어하고 숨는 것처럼 새도 피곤할 때를 알고 뒤로 날아간다. 이 시의 '날아다니는 새들은 서로에게로 돌아간다'라는 두 줄은 '래서자에게 돌아가다'의 '새들이 날다가 지치면 돌아오다'의 두 줄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