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의 자연과학 연구 논문
1. 유동유, 김동수. 중국 인류학학회가 논의하고 있는 몇 가지 문제. 길림성 중의학 교육 자료 편집 (해부학과 분서), 1985, (1): 9-11
2. 김동수, 유동유. 하악골 성별의 다원적 판단. 연변 의대 학보 1985,8 (4): 195-202
3. 피영호, 김동수, 유동유. 다원분석법으로 조선족 성인 중수골을 연구하다. 연변 의과 대학 저널 1985; 8 (4): 203-213
4. 김동수, 유동유. 두개골의 성별 판정 연구 (1) 호, 현, 포위도. 연변 의과 대학 저널 1986; 9 (3): 140-147
5. 김동수, 유동유. 두개골의 성별 판정 연구 (2) 위턱과 구개. 연변 의과 대학 저널 1986; 9 (4): 216-218
6. 피영호, 유동유, 김동수. 고관절 성별의 다변량 분석 연구 (a) 측정. 연변 의과 대학 저널 1986; 9 (3): 140-147
7. 피영호, 유동유, 김동수. 고관절 성별의 다변량 분석 연구 (2) 성별 판별 분석. 연변 의과 대학 저널 1986; 9 (4): 219-223
8. 피영호, 유동유, 김동수. 엉덩이 성별의 다원분석 연구 (1) 측량 (3) 잔해 복원. 연변 의과 대학 저널 1987; 10 (4): 242-245
9. 김동수, 유동유. 두개골의 성별 판정 연구 (c) 유양 돌기. 연변 의과 대학 저널 1987; 10 (2): 24-27
10. 김동수, 유동유. 두개골의 성별 판정 연구 (4) 안와와 코. 연변 의과 대학 저널 1987; 10 (4): 246-259
11. 방우성, 김동수 등. 복강 동맥 건조 가지의 희귀 변이 1 례. 연변 의대 학보 1989,12 (1):
12. 김동수, 송형근, 김창수. 사상의학과 연변 조선족 성인 생체측정성 체질 특징 관계 연구, I. 머리와 얼굴. 연변 의과 대학 저널 1991; 14 (1): 16-24
13. 김동수, 조수동, 허반옥, 전병열. 사상의학과 연변 조선족 성인 생체측정성 체질 특징 관계 연구, II. 체부. 연변 의과 대학 저널 1991; 14 (2): 79-88
14. 김창수, 류욱승, 김동수, 한동일, 김철. 연변 한족 뇌실의 CT 해부. 현대의학 영상학 1997,6 (5): 208-210
15. 김창수, 김동수, 한동일, 류욱승. 연변 지역 조족 한족 뇌실 CT 비교. 중국 실용의학 연구 (2), 1997, 9: 541-542
16. 김창수, 김동수, 박흥열. 길림성 조선족 성인 머리와 얼굴의 체질 특징. 연변대학교 의학학보 1997,20 (2): 63-66
17. 김창수, 김동수, 한동일, 류욱승. 조선족 측뇌실의 CT 측정. 연변대학교 의학저널 1997,20 (4): 209-210
18. 김창수, 김동수, 유동유. 중국과 북한 두 나라 조선족의 머리와 얼굴의 체질 특징을 비교하다. 해부학 잡지 1998,21 (3): 265-267
19. zhiyue J. Wang, Christina Bergqvist, Jill V. Hunter
Invivo measurement of brain metabolites using two-dimention al double-quantum Mr spectroscopy–exploration of GABA l levels in a keter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2003, 49: 615-619
20. 최춘애, 김동수. 관절 연골 결손을 치료하는 연구 진행. 연변대학교 의학저널, 2003,26 (3): 232-234
21. 최춘애, 김동수, 김범학. 관절 연골 결손 치료 세포의 체시학 변화. 연변대학교 의학저널 2003,26 (2): 94-96
22. 주헌춘, 김동수 등. 좌측 척추 동맥은 대동맥궁 시신 해부 1 례에서 기원했다. 연변대학교 의학저널 2004,27 (3): 205-207
23. 최춘애, 김동수, 관수영. 붉은 골수와 골막 이식은 관절 연골 결손을 치료한다. 중국 임상재활 2005,9 (14): 40-42
24. 김동수, 주헌춘, 장묵서. 좌측 척추 동맥의 초기 변이 1 례 중화현대의학과 임상2005,3 (4): 129-130
25. 최춘애, 김동수, 최림. Perio teal graft combined with autologous red bone marrow for repair of articular cartilage defects. 중국 임상해부학지 영어판, 2005,4 (1): 70-72
26. 김동수, 진정애, 이미자. 해장악이 쥐의 항취해취작용에 미치는 영향. 시진국의학 국약 2006,17 (8): 1476-1477
27. 서정철, 김동수, 진정애. 곰 담즙 동결 건조 분말 주사 안전 실험 보고서. 시진국의학 국약 2006,17 (8): 1523-1524
28. 전귀홍, 치화숙, 김영나무, 김동수. 느린 바이러스는 쥐 체내에서 인간 FVIII 유전자의 표현을 매개한다. 중화혈액학 잡지 2006,28 (5): 249-350
29. 김덕산, 이상우, 최림, 나창복, 이광소, 김동수. 국해 후 신선한 뼈를 이용해 골격을 만드는 방법. 중국 임상해부학지 2006,24 (4): 455
30. 전귀홍, 허동원원, 김영삼나무, 김동수. 느린 바이러스가 EPO 유전자를 유도하여 신장성 빈혈 다람쥐를 치료하는 실험 연구. 중국 임상해부학지 2006,24 (6): 683-686
31. 장묵서 김동수. 우측 복강 거대 신장암 1 례. 연변대학교 의학저널 2007,30 (1): 66-67
32. Li Liang Chang (리양창), Wang Jerry Zhiyue, Jin Dongzhu Proton semi-quantitative spectroscopy of cerebellar tumors in childhood. 중국 임상실용의학지, 2007,1 (7): 13-15
33. 리양창, 김동수. 폐 염증성 질환에서 핵 전사 인자 -kb 의 역할. 연변대학교 의학학보 2007,30 (2): 148-150
34. 신재현, 김동수, 장묵서. 턱관의 해부학 구조와 치아 재배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변대학교 의학학보 2007,30 (3): 170-172
35. 리량창, 이광조, 최림, 김동수 △. 인체 시스템 해부학 분단 시험법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하다.
해부학 잡지 2007,30 (5): 554,623
36. 전귀홍, 김동수 △. 중국 연변 조선족과 연변 한족 apoB 와 D17S30VNTR 다형성 연구. 인류학학보 2007,26 (4): 318-324
37. 장묵서, 김동수 △, 김영나무. 미토콘드리아 DNA CT-B 와 혈관 내피성장인자 mRNA 가 유방암에서 표현한 표현과 의미. 해부학보 2008,39 (4): 562 ~ 565
38. 리량창, 이단, 김동수. 혈관 내피성장인자 수용체 억제제는 천식 모형 쥐에 대한 항폐 염증 작용을 한다. 연변대학교 의학저널 2008,31 (3): 175 ~ 178
39. 전귀홍, 김동수. 유전자 치료 벡터의 연구 현황. 연변대학교 의학학보 2008,31 (2): 147 ~ 150
40. 양광, 김동수 △, 장묵서. 담낭 삼각형의 응용 해부학은 복강경 담낭 절제술에 사용된다. 연변대학교 의학학보 2008,31 (2): 101 ~ 104
41. 이양창, 이이단, 김동수. 혈관 내피성장인자 수용체 억제제는 천식 모형 쥐에 대한 항폐 염증 작용을 한다. 연변대학교 의학저널 2008, (3): 175 ~ 178
42. 허동원원, 김동수, 김범학. 삼황설심탕수 추출액이 다람쥐의 이온 흉부 대동맥 고리에 대한 이완작용과 메커니즘. 쓰촨 한의학 2008,26 (10): 11 ~ 13
43. 장묵서, 김동수 △, 김영삼나무. 유방암에서 미토콘드리아 DNA 사본의 변화의 중요성 해부학보 2009,40 (1): 41 ~ 43
44. 김광옥, 조지매, 김동수, 연광해. 맹장 처진 102 예에 대한 영상 진단의 임상 적 의의 연변대학교 의학저널 2009,32 (1): 41 ~ 43
45. 최춘길, 김원철, 김동수, 이양창. 이소플라본은 무알콜 지방간 질환 쥐에 작용한다. 해부과학 진척 2009, (4):
46. 최춘길, 연광해, 이량창, 김동수. 대두 이소 플라본이 실험용 쥐의 지방간에 미치는 치료 효과. 연변대학교 의학저널 2009,32 (3):
47. 최향란, 김동수, 리리. 유산소 운동이 만성 알코올 중독 다람쥐 좌골신경 초미구조 및 전기 생리에 미치는 영향. 중국 현대의사 2009, (21):
48. 연광해, 최윤호, 이광조, 심광해, 김동수, 송순종. 강영소 항 알레르기 작용 실험 연구. 중국 약리학 회보 2010, (3): < /p >
△: 통신작가
정주 유니콤 빌딩 안에는 모두 유니콤 직원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