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중국 분류 정보 발표 플랫폼 - 중고환승안내 - 도덕경 제4장의 원문 및 번역

도덕경 제4장의 원문 및 번역

'도덕경·4장'

저자: 이얼

다오총이지만 사용해도 부족할 수 있다. 원희는 만물의 근원과 같습니다. 그 날카로움을 물리치고 그 혼란을 해소하고 그 빛을 조화시켜 그 먼지와 같게 되라. Zhanxi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상제의 첫째 아들이 누구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도덕경·4장' 번역:

위대한 '도'는 공허하고 개방적이지만 그 기능은 무궁무진하다. 정말 심오합니다! 모든 것의 조상처럼 보입니다. 그 날카로움을 닳게 하고 그 혼란을 없애고 그 광채를 누그러뜨리고 흙과 섞이느니라.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누구의 후손인지는 모르겠지만 천황제의 조상인 것 같습니다.

'도덕경·4장' 참고사항:

① 종(Chong) : 통컵(총), 기구가 비어 있음, 공허함을 비유함.

②유푸잉: 통유야. 잉: 가득 차서 배기까지 확장됩니다.

③심연: 심오함. 그(a): 일시 중지를 나타내는 보조 단어입니다.

④종 : 조상, 조상.

⑤ 파일 교환: 파일(cuo): 마모, 이탈. Dui(rui): Tongrui, 날카로운, 날카로운. 그 날카로움을 다듬어라. 그 날카로움이 닳아 없어진다.

⑥분쟁 해결: 분쟁을 해결합니다.

⑦ 빛과 조화를 이루다: 빛을 조화시키고 숨긴다.

8세속의 세계와 같아라: 세속의 세계와 자신을 혼동하라. 위의 네 단어 "기"는 모두 도 자체의 속성을 나타냅니다.

9Zhan(잔): 가라앉다, 막연한 의미로 확장됨. Duan Yucai는 "Shuowen Jiezi Annotation"에서 고대 서적의 "뜨고 가라 앉는"에서 "shen"이라는 단어가 대부분 "zhan"으로 쓰여졌다고 말했습니다. "Zhan"과 "Shen"은 고대 발음이 같습니다. 여기서는 흔적도 없이 어둠 속에 숨어 있는 '도'를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⑩좋아하거나 존재함: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위의 "잔허"와 함께 "도"가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설명합니다. 14장 '무의 형상, 무의 형상을 황홀경이라 한다'의 문장을 보면 그 의미를 알 수 있다.

⑾샹: 비슷해요.

'도덕경·4장' 해석:

'도'를 빈 그릇으로 비유한 것은 신비로움과 무형성, 무한한 효과 때문이다. 생생한 은유. 철학적 계시가 이미지에 뿌리를 두고 있을 때에만 그 의미의 풍부함, 일반성, 추상화 및 확장이 적극적이고 상상적으로 발휘될 수 있습니다. 의미를 불어넣습니다.

가장 시사점을 주는 예는 장자의 작품에서 심오한 철학적 발전과 예술적 이미지 상상력에 극도로 과장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장자: 덕종부"는 발이 부러지고 발가락이 없는 수산, 종양이 있는 거대한 항아리, 등이 굽고 입술이 없는 등 깨달음을 얻은 극도로 추악한 사람들에 대해 씁니다.

그런데 그런 사람이 왕의 총애를 받고, 남자들은 그와 사이좋게 지내는 것을 좋아하고, 여자들은 그와 결혼하기 위해 경쟁까지 하게 된다. 그 이유는 이 사람들은 천성적으로 깨달음이 있고, 외모가 뚜렷하고 덕이 아름다우며, 내면의 도덕적 아름다움이 외면의 육체적 추함보다 더 크기 때문입니다. 『장자』에는 진실을 설명하기 위해 터무니없는 생각과 이상한 예를 사용하는 이와 같은 장들이 많이 있습니다.

리귀와 서시는 “하나”라고 했고, 중앙황제 훈디가 인위적으로 파낸 “일곱 개의 구멍” 때문에 목숨을 잃었다고 했다. 이런 특성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파격적인 사고방식 역시 위(魏)나라와 금(金)나라 시대 형이상학의 자유로운 전개에서 직접적으로 계승되었다. 잔인한 정치적 압력 속에서 형이상학은 세속윤리의 진정한 자제를 취하며 인간 본성의 해방과 자연에 대한 복종을 그 목적으로 옹호합니다.

푸린 칠현으로 알려진 류링은 취한 척하며 방탕한 모습을 보였다. 한번은 술에 취해 집에서 알몸으로 옷을 벗은 적도 있다. 이에 대해 일부 사람들은 그를 비웃었지만 류링은 "나는 세상을 집으로 여기고 집을 옷으로 여긴다. 왜 내 바지에 들어왔느냐"고 답했다.

이런 기묘한 모습이 말과 행동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와 도의 특성에 대한 인물의 이해를 진정으로 반영합니다. 노자는 “사람은 하늘을 따르고, 하늘은 도를 따르고, 도는 자연을 따른다”고 말했다. 도, 자연, 하늘과 땅.

류링의 충격적인 말과 행동은 바로 세속주의와 윤리를 거부하는 것이며,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자연의 광대하고 깊은 포옹에 통합시키는 실천이다.

“유명한 가르침을 버리고 자연에 순응하라”는 것은 위(魏)나라와 금(金)나라 시대의 유명인들이 남긴 유명한 말이다.

현실적인 윤리에 대한 경멸과 자연 추구는 그들의 느슨한 사상과 다루기 힘든 성격으로 인해 세상 사람들의 눈에 항상 이상하고 어울리지 않게 보입니다.

처형을 앞두고 '광릉산'을 연기해야 ​​했던 지강은 감히 의심하고 비판하는 방탕한 사상가였다. 그는 실제로 항상 "반항적"으로 여겨졌던 관삼촌과 채삼촌에게 "무가치하지 않다"고 생각하면서 새로운 평가를 내렸을 뿐만 아니라 "거룩한 권위에 부응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무법적이고 "비-당우" 그리고 얇은 주변 구멍.

이렇게 그는 독립적이고 거침없는 성격을 보여 수천년이 지난 지금도 그를 존경하게 만든다.